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어린이들이 벌 생태정보를 배우고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미래 생태학자를 위한 벌 탐험북’(이하 ‘벌 탐험북’)을 8월 20일 발간한다고 밝혔다.‘미래 생태학자를 위한 탐험북’ 시리즈는 어린이들이 생태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16일 국립자연휴양림이 보유한 국가산림문화자산 6선을 소개했다.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경기 가평)의 숲속의 집 오두막동은 우리나라 최초로 지어진 자연휴양림 숙박시설로 자연휴양림 건축의 시발점이다. 또한, 자생식물원은 국내 유일의 자연휴양림 부설
환경부는 8월 16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대청호(문의, 회남 지점)와 보령호에서 올해 처음으로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됨에 따라 녹조 저감과 먹는물 안전 확보를 위해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된 대청호와 보령호는 예년보다 많은 강
산림청 양산국유림관리소는 14일 김해시 대청계곡 일원에서 대청계곡을 찾은 국민들을 대상으로 산림청의 규제혁신 대표사례를 소개하고 산림분야의 불합리한 규제로 인한 불편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찾아가는 규제혁신 현장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안전?보건문화 확산 캠페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어린이들에게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8회 생태문학 공모전 수상 작품집’ 「날아라, 황조롱이 바람이」를 8월 12일 발간한다고 밝혔다.지난해 6월 1일부터 3개월간 진행된 공모전에는 총 321편의 생태동화 작품이 출품됐으며, 대상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잣나무 생장에 대한 유전적 영향의 변화와 잘 자라는 나무를 선발하는 시기’에 관한 40년 장기 연구를 하였다.연구진은 1985년도에 조성된 잣나무 육종 시험림 2개소를 대상으로 40년간 2,600여 그루의 생장을 정기적으로 조사했다. 나무의 높
산림청은 오는 19일부터 28일까지 전국의 아름다운 무궁화 명소 발굴을 위해 ‘제11회 나라꽃 무궁화 명소’를 공모한다고 14일 밝혔다.이번 공모전은 ‘나라꽃 무궁화 명소’를 선정해 무궁화의 아름다움을 새롭게 조명하고 나라꽃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고자 마련됐다.
산림청은 지난 12일부터 3일간 서울에서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공동으로 주관한 ‘통합산림위험관리(AFFIRM) 공동연수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이번 국제연수회에는 산림청을 비롯한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와 통합산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고성능 임업기계를 활용한 목재수확 작업을 쉽고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가와 함께 목재수확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의사결정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기계화 목재수확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은 작업 여건, 작업수행 방법, 작업자의
산림청은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4박 5일간 몽골 울란바토르에 ‘국제 청소년 숲탐방 원정대’를 파견해 테를지 국립공원에서 사막화방지를 위한 숲을 조성했다고 12일 밝혔다.산림청은 매년 숲사랑청소년단을 대상으로 국제 숲탐방 원정대를 선발해 해외 숲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8월 13일(화) 수목원, 식물원 분야 협력을 촉진하고 강화하기 위해 국제식물원보전연맹(BGCI)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제식물원보전연맹(BGCI: 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은 전 세계 115개국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8~9일(목, 금) 이틀에 걸쳐, 충남 지역의 목재 산업체를 방문하여 그간의 목재공학 분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현장 애로사항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비수도권 지역 목재 산업체는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신 기술이나 목
산림청은 아름다운 도시숲 50선으로 선정된 충청북도 청주시 ‘원흥이생태공원 도시숲’을 방문해 조성현황을 살피고 생태교육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산림청은 지난 1일 국내 도시숲 916곳에 대해 국민 선호도 조사와 함께 접근성, 생태적 건강성,
서부지방산림청은 지난 8일 담양군에 소재한‘한국정원문화원 건립공사’현장을 찾아 산림사업장 폭염대비 안전수칙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 특별 점검에 나섰다고 밝혔다.해당 사업은 정원분야 인력양성, 기술개발?보급, 산업화 지원을 목표로 총 사업비 196억(산림청 136억, 담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