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수의법의학센터 운영, 권역별 반려마루 조성, 반려산업 스타트업 발굴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제3차 경기도 동물복지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동물복지 안전망 강화 ▲인프라 확충 ▲반려문화 확산 ▲영업 관리 및 연관산업 육성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우선 안전망 강화 분야에는 수의법의학센터 운영, 재난·긴급 동물구조, 동물등록제 지원, 실외사육견·길고양이 중성화 지원, 입양 전문센터 조성, 입양비 지원 등 22개 사업에 총 1,589억 원(도비 358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반려동물 중심 정책을 넘어 가축행복농장 확대, 은퇴 봉사동물 입양 및 장례 지원 등 농장동물과 봉사동물까지 정책 범위를 확대했다.
인프라 확충 분야에는 동물보호센터 확충 및 운영 컨설팅, 권역별 반려마루·반려견 놀이터 확대, 동반 여가시설 조성, 민간보호시설 환경개선 등 8개 사업에 686억 원(도비 346억 원)을 배정했다.
반려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반려동물의 날’ 기념행사와 PETSTA, 독스포츠 대회 등 문화축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명예동물보호관 확대(2029년까지 450명), 동물복지위원회 운영, 개식용 종식(2027년 2월), 맹견사육허가제 및 기질평가 운영 등 7개 사업에 560억 원(도비 140억 원)을 투입한다.
또한 연관산업 육성 분야에는 B2B 박람회 개최, 스타트업 발굴과 전문가 양성, 전시관 운영, 공공장묘시설 확충 등 4개 사업에 58억 원(도비 58억 원)이 배정됐다.
경기도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직영 동물보호센터를 현재 6곳에서 12곳으로 확대 ▲반환·입양률을 43%에서 50%로 향상 ▲반려마루·놀이터 등 친화공간 확충 ▲평생교육 연간 2만 명 운영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소요 예산은 2,893억 원(도비 902억 원 포함)이며, 중앙정부의 동물복지 계획과 연계해 경기도형 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강영 경기도 축산동물복지국장은 “중앙정부의 제3차 동물복지 종합계획과 보조를 맞추되, 경기도 현장 여건을 반영해 실행력을 높였다”며 “경기도가 전국 동물복지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사랑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