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비용 20% 절감에도…대규모 투자 계획 경영진 단 16%
헥사곤은 최근 전 세계 11개 산업의 경영진 660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트윈 산업 동향 보고서’를 발간하며, 디지털 트윈 기술이 기업의 비용 절감과 지속가능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을 도입한 기업들은 탄소 배출량을 평균 15% 감축, 비용을 평균 19% 절감, 연간 투자 수익률(ROI)을 22% 증가시키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뚜렷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향후 2년 내 디지털 트윈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경영진은 단 16%에 불과했다.
헥사곤은 인공지능(AI) 기술과의 통합이 디지털 트윈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영진의 80%가 AI 도입으로 디지털 트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응답했으며, 43%의 기업은 향후 1년 내 AI를 디지털 트윈에 통합해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헥사곤의 버카드 보켐 CTO는 “AI는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디지털 트윈의 성과를 이끌 핵심 구성요소”라며 “AI를 도입하는 기업이 효율성, 혁신, 장기 성장 측면에서 더 큰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트윈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을 도입한 기업의 78%가 탄소 배출량 감소를 경험했으며, 평균적으로 15%의 감축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고서는 디지털 트윈에 대한 기대치와 실제 성과 간의 격차도 지적했다. 도입하지 않은 응답자 중 단 20%만이 협업 효과를 기대한 반면, 실제로 도입한 기업의 44%가 협업 성과를 체감했다. 헥사곤 프랭크 서이켄스 수석 부사장은 “디지털 트윈은 초기 도입 단계에서도 명확한 성과를 제공하며, 데이터 통합이 진전될수록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전체 성과 측면에서 점진적 이득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 도입 현황을 보면, 헥사곤은 디지털 트윈 성숙도를 △초보 그룹 △최적화 그룹 △높은 잠재력 그룹 △리더 그룹으로 분류했다. 항공우주·국방·공공안전 산업은 높은 기술 성숙도와 비즈니스 성과를 보이며 선도 그룹에 포함됐고, 건축·엔지니어링·건설(AEC) 산업은 상대적으로 도입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디지털 트윈이 비용 절감과 지속가능성 향상에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음에도 전략적 투자와 실행이 부족한 현실을 지적하며, AI 통합을 통한 차세대 디지털 혁신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참고: 헥사곤 에셋 라이프사이클 인텔리전스 사업부는 인터그래프 코리아와 동일 기업이다.
<저작권자 ⓒ 한국인포맥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여진 다른기사보기